본문 바로가기

15장 컬렉션 프레임워크 컬렉션 : 객체를 모아둔 것프레임워크 : 정형화된 체계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컬렉션 프레임워크 : 컬렉션을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java.util패키지에는 자료를 다룰 수 있는 자료구조 클래스가 다수 존재한다. 자료구조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하고, 자료구조 클래스들을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한다.-컬렉션 프레임워크라는 것은 다른말로 컨테이너라고도 부른다 (값을 담는 그릇이라는 의미)-자료구조형 안에서는 객체의 주소만을 관리한다 =>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있는 곳의 주소를 관리 배열의 문제점-저장할 수 있는 객체 수가 배열을 생성할 때 결정-> 불특정 다수의 객체를 저장할 수 없다.-객체를 삭제했을 때 해당 인덱스가 비게 된다. 이 두가지의 ..
14장 람다식 람다식이란?y=f(x) 형태의 함수로 구성된 프로그래밍의 기법이다.함수적 프로그래밍 기법은 y=f(x)와 같이 데이터를 매개값으로 전달하고 결과를 받는 코드를 말한다.함수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면 좋은점 2가지가 있다.1)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에 유리하다.데이터의 객체를 생성한 후에 처리하는것 보다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는 것이 속도에 유리하다.또한 멀티 코어 CPU에서 데이터를 병렬 처리하고 취합할 때 객체보다는 함수가 유리하다.2) 이벤트 지향 프로그래밍(이벤트가 발생하면 핸들러 함수 실행)에 적합하다.반복적인 이벤트 처리는 핸들러 객체보다는 핸들러 함수가 적합하다. 자바는 람다식을 언어 차원에서 제공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하는데 대표적으로 익명함수를 생성하기 위한 식에서 람다식을 볼 수 있다.(타입..
Scanner의 메소드 정리 백준 3184문제를 풀면서 Scanner 메소드에 대해 의문이 생겨서 정리를 해보았다. next() : 공백(띄어쓰기)을 기준으로 문자열 입력 받는다. nextLine(): 한줄(개행문자, 엔터)을 기준으로 입력을 받는다. nextInt(): 공백(띄어쓰기)을 기준으로 int값 읽어온다.hasNext(): 입력된 토큰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반환 토큰에 개행문자만 남아있는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하지만 개행문자는 그대로 남아있다. * next()와 nextLine()의 차이next()는 개행문자(/n)을 무시하고 문자열을 입력 받아온다.nextLine()은 개행문자(/n)까지 읽어서 문자열을 입력 받아온다. 출력값 >> 입력값은 초록색 부분으로 다음과 같다.6 6...#...##v#.#v..